교육사업
교육사업
양평 시민예술학교
양평 시민예술학교는 문화적, 생태적 다양성을 알리기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입니다.
다가올 전환사회를 대비하여 유효한 문화 역량을 육성하고, 공동체적 자각을 촉진할 수 있는 문화예술프로그램을 기획하였습니다.
다양한 생태자원 중 하나인 토종벼를 매개로 시민들이 스토리텔링을 제작하여 생태의 가치를 표현하는 문화예술 작업으로 진행됩니다.
양평군 그린 뉴딜정책 사업 중 하나인 ‘토종종자 친환경 농산물 생산’ 양평문화재단에서 기획한 <전통예술 풍물굿 지원사업>과 연계됩니다.
사업기간
2021년 9월 ~ 11월
사업내용
1차시
손벼베기Ⅰ_낫갈기과 벼베기 실습
토종벼란 무엇인가?
우보농장 농장장인 이근이 농부와 함께 토종벼의 역사와 복원의 의미를 찾아본다.
2차시
손벼베기Ⅱ_품종별 볏짚의 차이 느끼기
토종벼의 다양성과 나의 다양성
토종벼의 다양성과 특징을 알아보고 토종벼의 다양함에 반응하는 개인의 여러가지 감정들을 간단한 드로잉을 통해 표현해 본다.
3차시
탈곡Ⅰ_벼의 수분과 건조를 이해하여
벼의 낟알을 채취해보기
토종벼 오감 표현
토종벼의 볏짚과 알곡을 직접 만지면서 오감을 이용해 느껴보고, 볏짚을 재료로 자신의 느낌을 시각적으로 만들어 본다.
4차시
탈곡Ⅱ_까락 제거를 위한 까불리기/
홀태와 발탈곡기를 이용
토종벼 가면 만들기
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2백가지가 넘는 토종벼의 이름들을 (힌다닥, 쓴데기, 흑저도 등등)연상시키는 가면들 만들어 본다.
5차시
볏집의 재활용_품종별 볏단 다듬기 및
새끼고기를 통해 볏짚의 새로운 역할을
찾아보자.
토종벼 가면에 맞는 의상 제작해보기
토종벼들의 다양한 볏짚들의 특징을 알아보고, 그 볏짚들을 재료를 이용하여 토종벼 가면에 맞는 의상을 만들어 본다.
6차시
도정실습_쌀의 껍질을 얼마나 깎느냐에
따라 다양한 쌀의 종류가 나오는 것을
살펴보고 다름을 이해해보자
다양성의 몸짓 워크숍!
토종벼를 이용해 만든 가면과 의상을 입고 토종벼의 특성을 응용하여 자신만의 몸짓으로 표현해본다.
7차시
<양평 시민예술학교×토종벼 손추수
축제 리허설>
2~6차까지 만들었던 토종벼를 매개로 한 의상과 가면을 이용하여 손추수를 기념하는 우리들의 축제를 준비해본다.
8차시
<양평 시민예술학교×토종벼 손추수 축제>
전통예술 풍물굿 지원사업 생활예술동호회 팀과 함께 우리가 기획한 손추수를 기념하는 축제를 진행한다.
9차시
<양평 시민예술학교> 결과보고전 준비
프로그램을 참여하면서 만들었던 결과물들과 그간의 활동을 정리해보며 전시를 준비한다.
10차시
<양평 시민예술학교> 결과보고전 오픈
우리가 해석하고 이해한 토종벼와 그간의 활동 결과물들을 전시를 통해 관객들에게 선보인다.